세무회계 도호

자녀 증여 많이주는법 연금저축계좌 증여세 본문

비즈니스&경제

자녀 증여 많이주는법 연금저축계좌 증여세

doho tax 2025. 3. 30. 09:00

 

자녀 증여 많이주는법 연금저축계좌 증여세 한도 상속 결혼자금 미성년자 5억 공제한도

 

🌟 자녀 증여, 어떻게 하면 더 유리할까? 연금저축계좌 활용법! 🌟

 

안녕하세요, 세무회계 도호입니다.

최근 아이의 미래를 위해 일찍 증여를 시작하는 부모가 많아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단순히 돈을 주는 것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,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금액을 증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오늘은 비과세 한도를 활용한 증여 전략과 연금저축계좌를 통한 절세 팁을 알려드릴게요!

 

 

 

📌 미리 증여하면 좋은 이유는?

 

자녀가 성인이 되면 독립, 결혼, 학자금 마련 등으로 큰돈이 필요할 텐데요.

한꺼번에 목돈을 증여하려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지만, 어릴 때부터 계획적으로 증여하면 세금 없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증여 공제한도는 10년 단위로 적용되므로,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적립식 투자처럼 나눠 증여하면 더 많은 금액을 세금 없이 증여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📌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는 금액은?

 

✅ 2025년 기준

  • 미성년자(만 19세 미만) : 10년간 2,000만 원까지 비과세
  • 성인(만 19세 이상) : 10년간 5,000만 원까지 비과세

 

✅ 장기적인 증여 전략은?

  1. 자녀가 태어나자마자 2,000만 원 증여
  2. 10살에 한 번 더 2,000만 원 증여
  3. 20살, 30살에 각각 5,000만 원씩 증여

 

💡 이렇게 하면 자녀가 30살이 될 때 총 1억 4,000만 원을 증여세 부담 없이 줄 수 있습니다!

 

 

 

📌 적립식으로 나눠 증여하면 더 유리한 이유는?

 

이 방법은 유기정기금 제도를 활용하는 방식입니다.

처음 증여할 때 전체 금액을 한 번에 준 것으로 인정되므로, 연 3% 할인된 현재가치로 평가되어 더 많은 금액을 증여할 수 있습니다.

 

✅ 얼마를 넣어야 할까?(2025년 기준)

  • 매달 18만 9,000원씩 자녀 계좌에 증여하면 세금 없이 더 많은 금액을 줄 수 있습니다.

 

✅ 주의할 점은?

  • 최초 증여 시점에 반드시 자녀 명의로 증여 신고를 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📌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면 더 유리한 이유는?

 

자녀에게 매달 증여할 때,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.

 

✅ 투자 수익이 생겨도 추가 증여세 없음

  • 연금저축계좌에서 펀드나 ETF(상장지수펀드) 등에 투자 가능
  •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를 했다면 투자 수익에 대한 추가 증여세 부담이 없음

 

✅ 급하게 목돈이 필요할 때 인출 가능

  •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학자금, 이사 비용 등 급하게 목돈이 필요할 때가 있음
  • 연금저축계좌에서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원금은 세금 없이 자유롭게 인출 가능
  • 단, 원금을 초과하여 운용 수익까지 인출하면 16.5% 기타소득세 부과됨

 

✅ 성인이 되면 세액공제 혜택 활용 가능

  • 미성년 시기엔 세액공제 불가
  • 성인이 되면 납입연도 전환 신청을 통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
  • 이를 활용하면 여러 해에 걸쳐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을 수 있음

 

자녀 증여, 계획적으로 접근하세요!

단순히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, 세법을 활용하면 더 많은 금액을 절세하며 증여할 수 있습니다.

오늘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? 친구추가 부탁드립니다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