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무회계 도호

2025년 내집마련 전략? 지금일까? 본문

비즈니스&경제

2025년 내집마련 전략? 지금일까?

doho tax 2025. 3. 16. 09:00

 

2025년 내집마련 전략? 청년 신혼부부 대출 스트레스DSR 3단계 디딤돌 서울집 서울아파트 부동산

 

 🌟 2025년 부동산 시장,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은? 🌟

 

 

안녕하세요, 세무회계 도호입니다.

2025년 연초부터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입니다. 하지만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강남권 투자 기대감이 커지는 등 일부 지역에서는 활발한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. 올해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과 하반기 주목해야 할 주요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!

 

 

🏠 정치 불확실성 속 위축된 부동산 시장

 

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는 ‘거래량’입니다.

 

📌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2월 주택 매매 거래량은 4만5,921건.

  • 한 달 전(11월)보다 6.5% 감소
  • 수도권은 7.1% 감소, 비수도권도 6.0% 감소

 

📌 거래량 감소의 가장 큰 원인

  • 2024년 말부터 지속된 정치적 불확실성
  •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관망세 유지

 

📌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 심리도 위축

  •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(CSI) : 99 (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)
  • 지수 100 초과 → 집값 상승 기대
  • 지수 100 미만 → 집값 하락 기대

 

현재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보다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.

 

 

 

🚀 강남권 규제 해제, 투자 기회일까?

 

📌 2025년 2월 12일, 서울시는 강남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

  • 송파구 잠실동, 강남구 삼성·대치·청담동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 대상
  • 이전에는 매입 후 2년 실거주 의무가 있었지만, 이제는 투자 목적 매입 가능

 

📌 이번 해제로 예상되는 변화

  • 거래량 증가 가능성
  •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갭투자 증가 가능성

 

📌 하지만 이런 점도 고려해야 함!

  • 서울 아파트 전세가 비율(2025년 1월 기준) : 54.1% ➡ 갭투자 확산 가능성은 낮음
  •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이 이미 반영 ➡ 집값이 급등하기는 어려울 전망

 

📌 여전히 규제가 남아있는 지역

  • 압구정 현대, 대치 은마, 잠실 주공5단지 등 재건축 단지 ➡ 해제 대상 제외
  • 여의도·목동 재건축 단지도 여전히 규제 유지 ➡ 단기 투자자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

 

🏡 "지금 집 사야 할까?"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

 

2024년 부동산 시장에서는 거래량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변동성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.

 

📌 서울 아파트 거래량 (2023년 기준)

  • 5~8월 사이에 집중 → 군중심리에 의한 매매 증가 현상

 

📌 따라서 2025년 상반기에는?

  •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말고 신중한 접근 필요
  • ‘급매물’ 고려 가능 ➡ 서울 기준 2021년 10월 고점 대비 10~20% 낮은 매물

 

 

🔮 하반기 부동산 시장, 반등 가능할까?

 

📌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

  •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, 상반기보다 긍정적인 분위기 예상
  • 하지만 대출 규제 강화 및 금리 변동성으로 인해 집값 상승 폭 제한

 

📌 2025년 7월, 금융 규제 변화

  • 스트레스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3단계 도입
  • 모든 가계대출에 가산금리 적용 ➡ 대출 부담 증가 ➡ 대출 규제로 인해 집값이 급등하기 어려운 구조

 

📌 하반기 내 집 마련 시 고려할 요소

  • 대출 규제 & 금리 변동 상황 체크
  • 시장 분위기 확인 후 신중한 결정 필요

 

오늘 전해드린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!? 친구추가 부탁드립니다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