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신논현세무사
- 세무사
- 절세방법
- 청년도약계좌우리은행
- 청년도약계좌
- 세무회계도호
- 증여세
- 청년도약계좌이자
- 종합소득세
- 반포세무사
- 서울세무사
- 중소기업기장
- 종합소득세절세
- 중소기업세무사
- 종합소득세신고
- 논현세무사
- 종소세절세
- 절세
- 세무사기장
- 국민연금
- 세무회게도호
- 세무일정
- 종합소득세환급
- 세무기장
- 법인세
- skt유심방법
- 강남세무사
- 트래블카드환전
- 대통령탄핵심판
- 서울시지원금
Archives
- Today
- Total
세무회계 도호
2025년 내집마련 전략? 지금일까? 본문
2025년 내집마련 전략? 청년 신혼부부 대출 스트레스DSR 3단계 디딤돌 서울집 서울아파트 부동산

🌟 2025년 부동산 시장,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은? 🌟
안녕하세요, 세무회계 도호입니다.
2025년 연초부터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입니다. 하지만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강남권 투자 기대감이 커지는 등 일부 지역에서는 활발한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데요. 올해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과 하반기 주목해야 할 주요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!

🏠 정치 불확실성 속 위축된 부동산 시장
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는 ‘거래량’입니다.
📌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2월 주택 매매 거래량은 4만5,921건.
- 한 달 전(11월)보다 6.5% 감소
- 수도권은 7.1% 감소, 비수도권도 6.0% 감소
📌 거래량 감소의 가장 큰 원인
- 2024년 말부터 지속된 정치적 불확실성
-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관망세 유지
📌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 심리도 위축
-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(CSI) : 99 (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)
- 지수 100 초과 → 집값 상승 기대
- 지수 100 미만 → 집값 하락 기대
현재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보다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.

🚀 강남권 규제 해제, 투자 기회일까?
📌 2025년 2월 12일, 서울시는 강남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
- 송파구 잠실동, 강남구 삼성·대치·청담동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 대상
- 이전에는 매입 후 2년 실거주 의무가 있었지만, 이제는 투자 목적 매입 가능
📌 이번 해제로 예상되는 변화
- 거래량 증가 가능성
-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갭투자 증가 가능성
📌 하지만 이런 점도 고려해야 함!
- 서울 아파트 전세가 비율(2025년 1월 기준) : 54.1% ➡ 갭투자 확산 가능성은 낮음
-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이 이미 반영 ➡ 집값이 급등하기는 어려울 전망
📌 여전히 규제가 남아있는 지역
- 압구정 현대, 대치 은마, 잠실 주공5단지 등 재건축 단지 ➡ 해제 대상 제외
- 여의도·목동 재건축 단지도 여전히 규제 유지 ➡ 단기 투자자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

🏡 "지금 집 사야 할까?" 상반기 내 집 마련 전략
2024년 부동산 시장에서는 거래량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변동성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.
📌 서울 아파트 거래량 (2023년 기준)
- 5~8월 사이에 집중 → 군중심리에 의한 매매 증가 현상
📌 따라서 2025년 상반기에는?
-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말고 신중한 접근 필요
- ‘급매물’ 고려 가능 ➡ 서울 기준 2021년 10월 고점 대비 10~20% 낮은 매물

🔮 하반기 부동산 시장, 반등 가능할까?
📌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
-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, 상반기보다 긍정적인 분위기 예상
- 하지만 대출 규제 강화 및 금리 변동성으로 인해 집값 상승 폭 제한
📌 2025년 7월, 금융 규제 변화
- 스트레스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3단계 도입
- 모든 가계대출에 가산금리 적용 ➡ 대출 부담 증가 ➡ 대출 규제로 인해 집값이 급등하기 어려운 구조
📌 하반기 내 집 마련 시 고려할 요소
- 대출 규제 & 금리 변동 상황 체크
- 시장 분위기 확인 후 신중한 결정 필요
오늘 전해드린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!? 친구추가 부탁드립니다! 😊

'비즈니스&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G손해보험 매각 무산? (0) | 2025.03.17 |
---|---|
난임치료휴가 개편 6일지원 신청방법 (0) | 2025.03.17 |
사망보험금 보험제도 개편 노후자금 마련 (0) | 2025.03.15 |
카카오 선물하기 무료배송 자진시정안 (0) | 2025.03.13 |
인천 천원주택 최대 10년거주가능! (0) | 2025.03.12 |